

-
소화기의 종류
-
-
분말 소화기
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소화기로 인산암모늄이 주성분이며, 방사된 약제는 연소면의 피복에 의한 질식, 억제작용에 의해 일반화재, 전기화재 등 모든 화재에 효과적 이다.
-
이산화탄소 소화기
이산화탄소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상으로 용기에 충전되어 있으며, 액체 이산화탄소가 용기에서 방출되면 드라이아이스로 변해서 화재가 난 곳을 이산화탄소 가스로 덮어 공기를 차단합니다. B,C급 화재에 쓸수 있고 질식소화를 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.
-
할로겐화합물(청정)소화기(HFC-236fa)
화재의 연쇄반응을 화학적으로 차단하여, 불이 더 커지지 않도록 억제하면서 불을 끄는 원리입니다. 분말 약제가 아닌 가스로 고가장비가 있는 실험실 경우 2차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(실험실 권장)
-
K급 소화기
주방화재 시 사용하며, 유막을 형성시켜서 식용유의 온도를 낮추고 산소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.
-
투척용 소화기
화재 발생 시 불쪽으로 던기기만 해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, 열기에 용기가 깨지면서 불길이 진압되기 때문에 위험 상황 시 투척하여 사용합니다.
-
에어로졸식 소화기
가볍게 들고 다닐 수 있는 소화기로, 사용법이 쉬우며 초기진화로 유용한 소화기입니다.